그림1. 貴人日月圖
2009년12월15일에는 한중문화관에서 이 그림들이 전시된다. 친구들을 위해 매일 한 점의 그림을 해설하도록 한다. 그 첫 번 째로 해와 달 이야기를 하도록 한다.
2千年前 한나라 사람들은 하늘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示’라는 글자는 ‘上’ 아래에 해달별을 세로로 세 획을 그어서 만든 글자다. 태양에는 세발 달린 까마귀[三足烏]가 살았다고 이 화가는 생각하고 있다. 달에는 옥토끼가 떡방아를 찧고 두꺼비[蟾]가 헤엄치고 있다. 다음 그림에서 이 토끼는 거북의 등에 업혀 약방아를 찧고 있는데 水宮歌를 연상케 한다. 특히 만병통치의 불사약을 갖고 있다는 西王母 곁에서 약을 지음으로써 그 약효를 공인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네 개의 강이 흐르는 양자강의 상류 四川 지방에는 三足烏와 두꺼비를 품고 날개를 단 채 하늘을 나는 羽人들의 화상석이 많다. 당시의 신선 사상을 엿볼 수 있다.
달과 해 사이에 귀인은 御史花를 쓰고 그 한 가지에 걸망을 걸어 놓고 살진 말을 먹이고 있다. 御史花는 매우 과장되어 있는데 귀인의 앞에는 공손히 揖(읍)하고 있는 집사가 보인다. 귀인의 뒤에 닭처럼 보이는 새를 중국인들은 봉황이라고 즐겨 해석한다. 말 뒤에 눈을 크게 뜬 새는 머리만 보이는데 가려진 부분을 상상하면 그 軌跡이 입체적 느낌을 준다.
古詩는 漢나라 때 詩다. 19首가 전하는데 그 17번째 시를 의역하면 대강 다음과 같다. 이로부터 700년 당나라 이태백의 시에도 다듬이질을 하며 군인 간 남편을 그리는 노래가 있다. 남편의 소식을 달에게 비는데 15일의 滿月을 ‘望’이라 하고, 16일은 이미 지났으므로 ‘旣望’이라고 한다. 그래서 希望, 所望이라는 말이 생겼다. 三五는 15일, 四五는 20일이다. 그 구절에 달을 蟾兎[두꺼비와 토끼]라고 표현한 것이 보인다. 이 시대에는 이 그림과 시에서 보듯이 달을 '두꺼비와 토끼’라고 불렀던 것을 알 수 있다. 원주에 蟾江이 있는데 蟾은 ‘달’, 江은 ‘내’ 그래서 ‘달내’였던 것을 미루어 알 수 있다. 達川이라는 강도 있는데 이것도 吏讀로 ‘달내’이니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달이 비치는 강을 한국인들은 사랑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얼마나 詩情이 넘치는가?
孟冬寒氣至 초겨울 냉기 스며
北風何慘慄 북풍은 끔찍하여라!
愁多知夜長 시름 많은 밤은 길어만 가고
仰觀衆星列 우러르면 뭇별만 무수히 많네
三五明月滿 십오일 소망의 달 만월이 되었다가
四五蟾兔缺 스무날도 못 되어 기울어가네
客從遠方來 길손이 먼데서 찾아와
遺我一書札 편지 한 통 남기는데
上言長相思 머리에 그리움은 길기만 하고
下言久離別 말미에 만날 날은 멀다고 하네
置書懷袖中 소매 속에 품은 편지
三歲字不滅 삼년 지나도록 그대로 있네
一心抱區區 오직 뒤숭숭한 마음
懼君不識察 그대는 알까?
'화상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만병통치의 여의사 서왕모 (0) | 2009.11.25 |
---|---|
[3] 龍이 된 복희와 여와 (0) | 2009.11.24 |
[2] 신화의 황제-복희 (0) | 2009.11.20 |
머리말-한나라 돌그림(화상석) 전시회 (0) | 2009.11.09 |
[5]봉건제후의 일상- 뚜리가 토끼를 달에서 보았다는데.. (0) | 2009.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