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설에 덮인 파사성(婆娑城) 백설에 덮인 파사성(婆娑城) 남한강이 두물머리에 닿기 전, 새로 생긴 이포보에 잇닿아 사적 제251호 파사성은 있다. 신라의 제5대 왕(AD80~112 재위)의 이름이 붙어 있는데 다음 백과에는 파사왕을 대략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유리이사금의 둘째 아들인데 유리이사금의 동생인 내로- 또는 .. 죽령대로 2013.01.19
새천년 新 Silk Road의 關門 釜山-竹嶺大路의 朝鮮通信使 새천년 新 Silk Road의 關門 釜山 -竹嶺大路의 朝鮮通信使 내 서가에 400년동안 미라가 된 고문서에는 임진왜란 終熄 10년만인 1609년(광해군 1년)己酉約條와 함께 죽령-조령-추풍령-水路 등 네 방향의‘倭使進京路’가 적혀있다. 'Back to the Future'라는 영화가 있었는데, 과연 인간이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을 .. 죽령대로 2010.06.13
오! 남한강 2005년 가을[3] 충주-단양 오! 남한강 2005년 가을[3] 충주-단양 죽령을 넘어 부산까지 가는 '나의옛길 탐사일기[박이정]'의 1부는 남한강이다. 2010년 봄! 그 한강은 어떻게 흐르고 있을까? 책에서는 모두 흑백으로 처리했는데 그 원본을 찾아내어 색깔을 입혀본다. 그 한강은 그대로 있을까? 2005년10월25일(화) 신경림의 시비가 있는 .. 죽령대로 2010.05.07
오! 남한강 2005년 가을[2] 부론-목계 오! 남한강 2005년 가을[2] 부론-목계 지금 사대강 사업으로 시끄럽다는 것은 어제 말했다. 죽령을 넘어 부산까지 가는 '나의옛길 탐사일기[박이정]'의 1부는 남한강이다. 지금 그 한강은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책은 모두 흑qor으로 처리했는데 그 원본을 통해 색깔을 입혀본다. 그 한강은 그대로 있을까? .. 죽령대로 2010.05.06
남한강 - 2005년 가을[1]구리-여주 오! 남한강 2005년 가을[1] 구리-여주 지금 사대강 사업으로 시끄럽다. 2005년 가을에 피맛골에서 걷기 시작해서 부산까지 다녀오고 2009년에 박이정에서 '나의옛길 탐사일기[박이정]'로 두 권의 책을 묶었다. 이영희 실장의 노고가 많았다. 그 사이 벌써 피맛골이 사라졌다. 이 책이 1년도 안되어 역사가 되.. 죽령대로 2010.05.04
<나의 옛길탐사일기 Ⅰ-Ⅱ> <나의 옛길탐사일기 Ⅰ-Ⅱ> 몸의 길, 마음의 길, 그리고 만남과 헤어짐들.| 양효성 선생님(이하 편의상 저자로 약함)이 이번에 쓴 <나의 옛길 탐사일기>는 책 제목에서 보듯이 일기다. 일기란 그날그날의 느낌과 생각들을 일정한 틀없이 쓰는 미셀러니와 에세이의 중간쯤이라고나 할까. 남에게 .. 죽령대로 2010.03.07
[1]우보역은 어디에 죽령대로에 31개 역이 있다는 것은 나의옛길탐사일기에 표로 실려있다. 걷고도 차지못한 역이 대부분인데 하나 둘 그 길이 뚜렷해진다. 독자 한 분이 '우곡역의 위치'를 알려 주셨다. 우곡역은 현재 군위군 우보면 모산리 소실마을로, 소 = 牛 , 실 = 골짜기(경상도 사투리) 로 어린 시절 마을 어르신들이.. 죽령대로 2009.12.25
[1]죽령옛길 동호회 취지 [가칭] ‘옛길과 사람’ 발기취지의 말씀 ‘죽령대로 옛길 잇기 동호회’ 우리는 실용주의를 표방하면서도 정작 실학이나 실용에 종사한 사람들의 삶은 존중하지 않았습니다. 죽령대로는 남으로 부산을 거쳐 대마도와 일본으로 또 북으로 서울을 거쳐 압록강과 유라시아로 이어지는 역사와 번영의 길.. 죽령대로 2009.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