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통신사 公式路程(루트) 1. 한국구간
조선통신사 公式路程(루트) 1. 한국구간
통신사들은 어떤 길로 東京까지 갔을까? 그 공식적인 행로를 확정할 필요가 있다. 통신사들에게 주어진 임무는 일왕에게 국서를 전하고 그 회신을 받아 임금께 전달하는 것이었으니 그 국서의 행로가 곧 공식루트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607년 부사 慶暹[경섬]의 해사록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서울― 부산 980리[약 392Km], 부산 ― 대판 정포 水路3,330里, 정포 ― 京都 40里, 경도 - 동경 1240里 [496Km], 水陸 합계 5,590里로 왕복 11,180리....云云
서울-부산 千里길 약 400킬로는 우리에게 그리 낯설지 않다. 이 길을 경섬은 문경에서 상주로 돌아 며칠 쉬고 영천에서 정사와 합류해서 동래까지 25일정도[1월12일부터 2월8일까지] 걸렸는데 보름 정도 걸리는 것이 일상이었다.
통신사들은 교통수단으로 거의 역마를 이용했고 문경[유곡]에서는 개울을 가마로 건너면서 불어난 물로 고역을 치르기도 했지만 이런 물길은 일본에서 더 어려운 곳이 많았었다.
1763년 남옥은 8월3일부터 17박18일의 여행 끝에 8월20일 동래에 도착했다. 즉 3일 경희궁 숭현문에서 20리를 가 양재역에서 자고 다음날 4일 60리를 가서 용인에서 자고...그 다음날 용인에서...등등 일정표는 다음과 같은데 다음의 지명은 밤을 지낸, 즉 숙소로 驛站(역참)이 여정에서 왜 중요한지 새삼스러우리라 믿는다.
8월3일 경희궁 崇賢門 20리 양재→4일, 용인 60리→5일 죽산 100리→6일 숭선역 →7일 사관 50里→8일[雨] 안보역 50리→9일[雨] 문경현 50리→10일 유곡의 郵村[우촌=역참] 40리→ 11일 예천군 80리→ 12일 안동부 70리→[13일 안동] →14일 오후4시 의성 70리→15일 신녕 90리→ 16일 永川[餞別宴] 40리→17일[秋分] 哺時 경주 80리→18일 울산 90리→ 19일 용당참 50리→ 20일 동래 60리
이 당시 정사는 고구마로 유명한 조엄이었는데 안동에서 하루를 쉬었을 뿐 7일 밤부터 2박3일 비를 맞았고 17일 추분을 맞이하며 비교적 순탄하게 부산에 도착했고 그 이수를 합하면 모두 1천리-약 400Km다.
통신사들은 어느 곳에서 잤을까? 일본에 비해 정확한 숙소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아무튼 통신사들의 공식행로는 역로를 중심으로 점을 이어나가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우선 역로만 말하자면 한국의 경우 청파에서 부산포까지 1포 32역 약 400Km 더하기 α, 일본의 경우 정포에서 京都(경도)- 中山道-美農路-東海道 모두 65宿驛 약600Km내외로 比定해둔다.
조선의 32역은 지금 서울특별시- 경기도-충청북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광역시 등 일곱 권역의 여러 도시를 경유하게 되어 있다. 경기도에서는 이 옛길을 영남대로-조령옛길-조선통신사의 길 등등의 공통점을 묶어 옛길로 복원하는 작업을 주도하면서 道內의 옛길 고증, 지도 작업, 안내표지판 설치 등등 정비사업을 올[2015년] 7월에 마치고 10월에는 도민과 걷기 동호인에게 선보일 예정인데 충주가 이미 정비한 새재 구간까지 이어 문경으로 넘기면 부산까지 옛길은 쉽게 복원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업이 이번 10월17일 조선통신사 영천 마상재 문화의 달 행사와 조선통신사 문화유산 유네스코등재 등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
조선통신사 공식 路程 [한국구간 *역로기준] | ||||
|
역명 |
시군 |
속역 |
현 소재 추정지 |
1 |
靑坡[청파] |
서울 |
|
서울시 용산구 갈월동 |
2 |
良才[양재] |
|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 |
3 |
樂生[낙생] |
성남시 |
|
성남시 분당구 수내 2동 |
4 |
駒興[구흥] |
용인 |
|
읍치에서 남쪽으로 5리, 금령역과 30리 |
5 |
金嶺[김령] |
|
용인시 처인구 중앙동- | |
6 |
佐贊[좌찬]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좌항리 | |
7 |
分行[분행] |
안성 |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
8 |
無極[무극] |
음성 |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 무극리 |
9 |
用安[용안] |
충주 |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
10 |
連原[연원] |
연원도 |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동 | |
11 |
丹月[단월] |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리 | |
12 |
安富[안부] |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안보리 음지말 | |
13 |
聊城[요성] |
문경 |
|
경상북도 문경시 堯城里 |
14 |
幽谷[유곡] |
유곡도 |
경상북도 문경시 서남면 유곡리 | |
15 |
大隱[대은] |
예천 |
유곡도 |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 |
16 |
通明[통명] |
창락도 |
경상북도 예천군 통명동 | |
17 |
安奇[안기] |
안동 |
안기도 |
<이하 : 나의옛길 탐사일기 참조> |
18 |
운산[] |
|
안기도 |
|
19 |
철파[] |
|
|
|
20 |
청로[] |
|
|
|
21 |
牛谷[] |
|
|
|
22 |
長壽[] |
영천 |
장수도 |
|
23 |
淸通[] |
|
| |
24 |
아화[] |
경주 |
|
|
25 |
毛良[] |
|
| |
26 |
朝驛[] |
|
| |
27 |
仇於[] |
|
| |
28 |
富平[] |
울산 |
|
|
29 |
간곡[] |
|
| |
30 |
아월[] |
|
|
|
31 |
소산[] |
동래 |
|
|
32 |
휴산[] |
|
| |
33 |
부산포 |
|
|
|
34 |
|
|
|
|
2015년10월17일 영천 문화의 달 주제는 조선통신사...
조령-문경새재의 원터는 주춧돌만 남았지만...
옛길 박물관에는 그 역사가 살아 숨쉬고...
한일간의 우정걷기는 그 길의 복원을 꿈꾸고 있다.
통신사들은 최종적으로 영천의 조양각에 집결하여...
일본을 향해서 부산을 바라보며 발걸음을 옮겼었다. <*이어 일본의 육로 루트>